SNS 영상 사이즈 최적화. 가이드, 한 번에 끝 인스타그램·유튜브·틱톡·페이스북 등

SNS 영상 사이즈 최적화. 가이드, 한 번에 끝 인스타그램·유튜브·틱톡·페이스북 등

인스타그램·유튜브·틱톡·페이스북 등 주요 SNS 영상 사이즈, 비율, 화질 최적화 설정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크리에이터 필수 가이드.

“영상 사이즈는 ‘화질’이 아니라 ‘도달력’을 결정한다.”


🧭 1️⃣ 왜 영상 사이즈가 중요한가

SNS 알고리즘은 **“시청 유지율”**과 **“기기별 노출 비율”**을 기준으로 작동합니다.

즉, 영상이 화면에 완벽하게 꽉 차야 노출 확률이 올라갑니다.

예를 들어, 인스타 릴스는 9:16 비율(세로형)일 때

리치가 1.8배 이상 높아집니다.

💡 “사이즈 최적화는 영상 품질보다 중요한 첫 세팅이다.”


📏 2️⃣ SNS별 영상 규격·비율 총정리 (2025 최신판)

플랫폼권장 비율권장 해상도최대 길이포맷비트레이트
유튜브 Shorts9:161080×192060초MP4 (H.264)16~20Mbps
틱톡9:161080×19203분 (일부 10분)MP4 / MOV8~12Mbps
인스타그램 Reels9:161080×192090초MP4 / MOV10~15Mbps
페이스북 Feed1:1 or 4:51080×1080 / 1080×1350240분MP4 / MOV8~12Mbps
트위터(X)1:1 / 16:91080×1080 / 1920×10802분 20초 (Pro 10분)MP410~12Mbps
스레드(Threads)4:5 or 9:161080×1350 / 1080×19205분MP48~10Mbps
네이버 블로그16:91920×108010분MP410Mbps
틱톡 라이트 / 쇼츠형 광고9:16720×128030초MP45~8Mbps

🎯 정리 포인트

인스타·틱톡·쇼츠 = 세로 9:16

유튜브 본편 = 가로 16:9

페북·트위터 = 정사각형(1:1) or 중간형(4:5)

SNS 영상 사이즈 최적화. 가이드, 한 번에 끝 인스타그램·유튜브·틱톡·페이스북 등

📱 3️⃣ 플랫폼별 최적 비율과 사례

🎬 ① 유튜브 Shorts

  • 비율: 9:16 (세로형)
  • 해상도: 1080×1920
  • 권장 길이: 15~60초
  • 포인트:
    • 첫 3초 ‘Hook’ 중요
    • 자막은 화면 상단 15%, 하단 15% 피해야 (UI 영역)

💡 “Shorts는 세로형 + 중앙 정렬 = 노출 최적화 공식.”


📲 ② TikTok

  • 비율: 9:16
  • 해상도: 1080×1920 (720×1280 가능)
  • 최대 길이: 3~10분
  • 포인트:
    • 중간 부분 자막 피하기 (좋아요 버튼 영역)
    • 30초 이내 완결형 구조일수록 유지율 높음

🎯 “틱톡은 리듬이 생명이다 — 0.3초 전환이 표준.”


🎥 ③ Instagram Reels

  • 비율: 9:16
  • 해상도: 1080×1920
  • 길이: 15~90초
  • 포인트:
    • 썸네일용 1:1 (정사각) 프레임 별도 저장
    • 상단 250px은 UI(아이디, 캡션) 영역이므로 텍스트 금지

💡 “릴스는 썸네일부터 승부가 난다.”


💻 ④ Facebook Feed

  • 비율: 1:1 or 4:5
  • 해상도: 1080×1080 or 1080×1350
  • 길이: 최대 240분 (영상 업로드형 광고용)
  • 포인트:
    • 4:5는 모바일 화면에서 가장 효율적
    • 자막 포함 영상은 자동 음소거 상태에서도 시청 유도

🎯 “피드형 영상은 첫 프레임의 감정 표현이 핵심.”


🐦 ⑤ X(구 트위터)

  • 비율: 16:9 (가로) / 1:1
  • 해상도: 1920×1080
  • 길이: 2분 20초 (Blue 유료시 10분 가능)
  • 포인트:
    • 가로형 영상은 링크형 콘텐츠에 적합
    • 해시태그보다 썸네일과 문장형 설명문이 CTR↑

💡 “트위터는 스크롤 속 ‘움직이는 썸네일’이 무기다.”

SNS 영상 사이즈 최적화. 가이드, 한 번에 끝 인스타그램·유튜브·틱톡·페이스북 등

🎨 4️⃣ 영상 비율에 따른 구도 전략

비율대표 플랫폼특징편집 팁
16:9유튜브 본편시네마틱, 정보형좌우 여백 확보
9:16숏츠·틱톡·릴스몰입감, 세로 전용중앙 인물·텍스트 배치
1:1인스타 피드, 페북균형감, 브랜드형인물/제품 중심 정렬
4:5페북, 스레드모바일 뷰 최적상단 공간 확보

💬 “비율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시선의 길이’다.”


🧠 5️⃣ 플랫폼별 렌더링·출력 설정

항목설정권장 값
해상도1080×1920 / 1920×1080플랫폼 기준
프레임30fps (정보형) / 60fps (액션형)
비트레이트8~15Mbps화질+용량 균형
코덱H.264 (AVC)호환성 최상
포맷MP4SNS 표준
오디오AAC 128kbps 이상음질 유지

🎯 출력 팁:

  • CapCut, Premiere, DaVinci 등에서 “SNS 프리셋” 사용
  • 파일명에 비율 표기 (예: video_9x16.mp4)

🧩 6️⃣ 캡컷·VN에서 사이즈 자동 변환 루틴

📱 CapCut

1️⃣ 새 프로젝트 → “비율 선택”

2️⃣ 9:16, 1:1, 4:5 등 선택

3️⃣ 영상 불러오기 → ‘자동 크롭 맞춤’ 기능 활용

4️⃣ 자막·요소 → 중앙 가이드라인 확인

5️⃣ 내보내기 시 플랫폼 선택 (YouTube / TikTok 등)

🎯 장점: 자동 리사이즈 + 품질 유지

SNS 영상 사이즈 최적화. 가이드, 한 번에 끝 인스타그램·유튜브·틱톡·페이스북 등

🎬 VN Video Editor

1️⃣ 프로젝트 생성 → 해상도 수동 설정

2️⃣ 편집 완료 후 ‘Export’

3️⃣ 1080×1920, 30fps 선택

4️⃣ 고화질(10Mbps 이상) 옵션 활성화

💡 Tip:

텍스트·로고는 UI영역(상단/하단 10%) 피하기.


💾 7️⃣ 파일 용량 줄이기 (품질 유지 압축법)

고화질을 유지하면서 SNS 업로드 제한에 맞추려면

용량 압축 + 비트레이트 조정이 핵심입니다.

도구특징
🎞️ HandBrake무료, 비트레이트·프레임 조정 가능
💻 Shutter Encoder전문가용 압축기, LUT 유지
📱 CapCut ExportSNS별 자동 인코딩 제공

🎯 설정 가이드:

비트레이트 8~12Mbps + 프레임 30fps → 1분 영상 약 100MB 이내


🔤 8️⃣ 영상 자막·그래픽 배치 시 주의 구역

플랫폼피해야 할 영역이유
Shorts / TikTok / Reels하단 250px좋아요·댓글 버튼 겹침
Instagram상단 300px프로필 영역 노출
YouTube Shorts상하 15%UI 가림 위험

💡 Tip:

CapCut의 “Safe Area” 가이드 활성화 → UI 침범 방지


🌈 9️⃣ 색보정과 SNS별 표시 차이

각 플랫폼은 자동 색공간 변환(sRGB↔Rec.709)을 적용하므로

같은 영상이라도 채도·명암이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 색보정 팁

  • 대비 +10~15
  • 채도 +5
  • 색온도 5500K 기준
  • 톤 커브 약간 완화

🎯 주의:

iPhone에서 TikTok으로 업로드 시 자동 HDR 적용으로 과채도 발생 가능 →

업로드 전 ‘HDR 제거’ 필터 적용 추천.


🧠 10️⃣ 자막 크기 및 폰트 최적 비율

해상도자막 크기(px)추천 폰트
1080×192060–80pxSUIT Bold, Pretendard SemiBold
1920×108040–60pxNoto Sans KR, Roboto
1080×108050–70px나눔스퀘어, 배민 도현

💡 “가독성은 자막의 양보다 ‘리듬감’으로 만든다.”


🧩 11️⃣ 플랫폼별 썸네일 권장 사이즈

플랫폼해상도비율포맷
YouTube1280×72016:9JPG / PNG
TikTok1080×19209:16JPG
Instagram1080×10801:1JPG
Facebook1200×6281.91:1PNG
Shorts (커버 이미지)1080×19209:16JPG

🎯 Tip:

텍스트는 중앙 60% 이내 배치 → 기기별 크롭 방지.

SNS 영상 사이즈 최적화. 가이드, 한 번에 끝 인스타그램·유튜브·틱톡·페이스북 등

💡 12️⃣ 브랜드 영상용 비율 설계

목적권장 비율플랫폼
제품 홍보1:1 or 4:5인스타·페북 피드
후기/인터뷰16:9유튜브 메인
숏츠·릴스9:16틱톡·유튜브
이벤트 티저9:16 + 1:1 버전 병행전채널 확장형

💬 “하나의 영상을 3비율로 나누면, 세 개의 플랫폼을 점령할 수 있다.”


🧠 13️⃣ 워크플로우 예시: 멀티플랫폼 제작 루틴

단계작업설명
① 원본 촬영4K 16:9 비율가장 높은 해상도로 확보
② 편집마스터 타임라인 16:9컷 정리·색보정
③ 리사이즈9:16 / 1:1 버전 생성CapCut / Premiere 프리셋
④ 자막UI 영역 제외 중앙 배치자동 생성 후 보정
⑤ 출력MP4 H.264플랫폼별 최적화
⑥ 업로드Shorts / TikTok / Reels해시태그 통합 관리

🎯 “하나의 영상이 세 플랫폼으로 확장되는 구조.”


🔧 14️⃣ 자동 변환 템플릿 (추천 앱별)

기능특징
CapCutSNS별 프리셋 (YouTube, TikTok 등)자동 비율 조정
InShot커스텀 캔버스 비율SNS 포맷 간단 전환
VN다중 비율 내보내기한 번의 렌더링으로 여러 버전
LumaFusioniPad 전용 고급편집LUT, 오디오 믹싱까지 포함

💡 꿀팁:

템플릿으로 비율을 고정해두면 작업 효율이 40% 이상 증가합니다.


📊 15️⃣ SNS별 압축률·화질 비교 (2025 업데이트)

플랫폼업로드 후 화질 유지율주석
YouTube85~90%자동 리인코딩, 고화질 유지
TikTok80~85%앱 내 편집 시 손실↓
Instagram75~80%자동 압축 높음
Facebook70~75%모바일 업로드 시 손실 큼

🎯 Tip:

모바일보다 PC 업로드 시 화질 손실이 적습니다.

→ Wi-Fi 업로드보다는 데이터 전송 후 PC 업로드 추천.


📁 16️⃣ 파일명 관리 규칙 (SEO + 작업 효율)

구분예시설명
영상brand_review_9x16_2025.mp4비율·연도 표기
썸네일brand_thumb_1x1.jpgSNS 피드용
릴스 버전brand_reel_1080x1920.mp4인스타 전용
쇼츠 버전brand_short_youtube.mp4유튜브용

💡 “파일명은 메타데이터보다 강력한 SEO 포인트다.”


🔚 결론 — “사이즈를 맞추면, 도달률이 달라진다.”

📌 핵심 요약

  • 영상 비율은 노출률과 직결된다
  • 플랫폼별 UI 영역을 피해야 시청 유지율↑
  • 해상도 1080p, 비트레이트 10~15Mbps가 황금값
  • 하나의 마스터 영상 → 세 가지 비율로 확장

🎯 결론:

“영상 사이즈는 단순한 규격이 아니라,

플랫폼 알고리즘과 맞물린 ‘전략적 설계’다.”


다른 글


2025 편집자 장비 추천, 이 조합이면 끝 (영상 편집자 필수 세팅 완전 가이드)

체중은 그대로인데 옷이 헐렁해졌다면? | 체성분 변화의 신호

스마트워치 없어도 건강관리 성공법

60대 이후, 건강하게 사는 사람들의 공통점, 나이보다 젊게 사는 비밀, 꾸준함 속에 있다

📲 스마트 전송 – 파일 공유 앱 완벽 가이드 | 안드로이드 ↔ iPhone 간 무선 전송 (2025 최신)